영어공부-영원히풀수없는숙제

Aerospace Company Irks Astronomers With Disco-Ball-Satellite

cyanluna 2018. 3. 15. 08:07

여기 일론머스크 말고도 특이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인공위성은 단지 우주에서 밝게 빛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단지 지구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요. 어쩐지 낭만스럽네요. 올 해 10월까지 지구 궤도를 돌다가 지구로 떨어진다고 하네요. 지구 어느 곳에서도 잘보이도록 원모양의 아주 반사가 잘되는 외부 재질로 만들었네요. 이런 시도를 할 돈은 어디서 모으는 건지 참 궁금합니다. 사비털어서 하기엔 발사비용이 아주 클것같은데요. 아무튼 서구인들은 실용주의를 표방하는줄알았더니 재기발랄함이 넘칩니다. ! 이런 또라이들이 세상을 좀 더 밝게 만들어주는 것 같습니다. 오늘 밤에 한번 살펴 봐야겠어요. 이 인공별이 지구를 잘 돌고 있나. 

혹시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것같은데. 전 새벽에 우주정거장이 떠 있는걸 맨눈으로 목격한적이 있습니다. 생각보다 궤도가 아주 빠르더군요. 처음엔 비행기인줄 알앗는데 비행기치고는 너무 빠르고 별똥별치고는 너무 느려서 궁금했거든요. NightSky라는 어플을 통해서 확인해보니 ISS더군요!! NightSky는 현재 하늘에 떠있는 인공위성, 별, 행성의 위치를 그대로 알려주는 천문지도 어플입니다! 세상 참 좋아요! 

중간 쯤에 International Space Station 보이시나요??




Aerospace Company Irks Astronomers With Disco-Ball-Satellite 
Private aerospace company, Rocket Lab, successfully delivered its first payload into orbit this January. Unfortunately, one of the three satellites placed into orbit by the New Zealand company is receiving negative feedback from those in the space industry.
민간항공우주회사 로켓랩은 지난 1월 성공적으로  그들의 첫번째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습니다. 불행하게도, 궤도에 진입한 3개 중 1개의 뉴질랜드 회사의 인공위성은 우주 항공분야로 부터 좋지 않은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Called the 'Humanity Star', the highly reflective object is about one meter in diameter and resembles a large disco-ball. It will orbit the planet every 92 minutes until October this year, when it will burn up in the Earth's atmosphere. It's visible to the naked eye from anywhere on the globe, and easiest to see at dawn and dusk.
'Humanity Star’ 라고 불리는 매우 반사적인 물체는 약 1미터의 직경이며 디스코볼과 매우 흡사합니다. 이것은 10월까지 92분주기로 공전전합니다 그리고 지구 대기에서 불타 없어지게 됩니다. 이것은 지구 어디에서도 맨눈으로 관찰가능하며 특히 저녁무렵이나 새벽에 잘 보입니다. 
According to Rocket Lab's website, the Humanity Star is designed “to be a bright symbol and reminder to all on Earth about our fragile place in the universe.” Founder and CEO of Rocket Lab, Peter Beck, hopes that “everyone looking up at the Humanity Star will look past it to the expanse of the universe, feel a connection to our place in it and think a little differently about their lives, actions and what is important.”
로켓랩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Humanity Star’는 “지구에 있는 우리에게 우리는 우주안에서 부서지기 쉬운 존재임을 상기시켜주는 빛나는 상징” 으로 디자인 되었다고 합니다. 창업자이자 CEO인 피터벡은 다음과 같이 희망합니다. 
“모두가 'Humanity Star’를 올려보면 우리는  확장된 우주와 과거를 보며 연결된 공간 속에서 우리의 삶과 행동을 조금 다르게 생각합니다. 그것이 중요합니다. ” 
Astronomers and others in the space industry have criticized the launch of the Humanity Sphere as just more pollution of the sky. Astronomer Mike Brown described the sphere on Twitter as “intentionally bright long-term space graffiti”. Others are more worried that it will start a trend of launching useless publicity stunts into orbits already over-crowded with space junk.
천문학자들과 다른 우주항공업체들은 이런 구형태의 인공위성발사는 단지 우주의 공해일 뿐이라며 비난했습니다. 천문학자 마이크브라운은 이 구모양 위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트위터에 남겼습니다 “짧은시간 빛나고 오랜시간동안의 우주 그라비티”. 다른 사람들도 이것이 의미없는 대중적 쇼에 대한 트랜드의 시작이 되지 않을까 우려 하고있습니다. 우주 궤도는 이미 위성들의 쓰레기와 잔해들로 과밀상태입니다. 
The United States Strategic Command currently tracks over 17,000 artificial objects above the Earth. Only 1,419 are operational satellites, meaning the rest is potentially dangerous space debris.
미전략사령부는 현재 지구위에 있는 17만개의 인공위성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단지 1,419개의 운영중인 인공위성이 있을 뿐입니다. 즉 , 나머지는 우주의 부스러기가 될 잠재적 위험이 있습니다.
The launch was only the second by Rocket Lab's 'Electron' rocket. The low-cost rocket features 3D-printed 'Rutherford' engines, and is launched from the world's first privately owned space-port.
로켓랩의 두번째 발사는 ‘일렉트론’ 로켓에 의한것입니다. 저비용의 3D 프린터인 ‘러더포드’ 엔진을 사용한것이 특징이며 세계최초의 민간이 소유한 우주 발사대에서 발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