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anluna
Rich Cities Largely Responsible for Greenhouse Gases 본문
저는 요새 미세먼지 때문에 정말 심각하게 고민하고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개인적으로 의심이가네요. 중국을 가보면 많은 공장들이 가스저감장치없이 그냥 배출하고있는것이 보입니다. 아무리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공장에서 시간당 톤단위로 뿜어내는 가스를 이기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우선 첫번째로 저감정책을 의무화하고 제조공장들로 부터나오는 유해가스들과 분진들을 모두 없앴뒤에 소비자들에게도 다른 필요한 활동을 장려 했으면 합니다. 병행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쩐일인지 이번주는 공기가 깨끗하네요. 바람이 중국쪽으로 불어주나봅니다. 감사합니다. 에버랜드 가야겠습니다!
Rich Cities Largely Responsible for Greenhouse Gases
Rich cities around the world are largely responsible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says a new study.
세계의 부자도시들은 친환경 가스에 큰 책임을 가지고있습니다.
The study measures emissions based on the use of goods and services, such as food, clothing and electronics, by people living inside cities. This is a change from traditional measures, which look at emissions from production of goods.
새로운 연구는 음식과 옷 그리고 전기등 상품과 서비스에 기반한 도시내 배출가스를 측정했습니다. 이것은 상품생산의 배출을 측정했던 전통적 측정방법과는 다릅니다.
When measuring these gases based on consumption, rather than manufacturing, the biggest emitters are mainly citie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제조가 아니라 소비에 기반한 측정을 할 때 가장 큰 배출을 한 도시는 주로 북아메리카와 유럽이 었습니다.
Researchers shared this information this month at a United Nations climate conference in Edmonton, a city in Alberta, Canada. About 750 city leaders, university researchers and scientists from 80 countries took part. They discussed the latest climate research and what local governments can do to fight climate change.
연구자들은 이 정보를 이달 캐나다의 앨버타에서 열리는 유엔기후학회에 제출했습니다. 약 80개국 750개의 도시가 대학연구원들과 과학자들에 의해 선정되었습니다. 그들은 지역 정부가 기후변화를 위해 무엇을 할수 있을지 최근 연구 결과에 대해서 토론했습니다.
The new estimates put the responsibility on richer consumers and “increase(s) the scope of things that policy makers in cities” can do to lower emissions, attendee Mark Watts said.
새로운 예측은 부자 소비자에게 더 큰 책임을 지우고 “도시정책제정자들은 더 적은 배출가스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의 범위를 확대 할 것", 이라고 참석자 마크와트는 말했습니다.
Cities use more than two-thirds of the world’s energy.
도시들은 세계 에너지의 약 2/3 이상을 사용합니다.
The new estimate comes at a time when there is concern that national governments will not meet the climate promises they made under the Paris agreement.
새로운 추정치는 국제정부들이 파리 협정에서 만든 온실가스에 대한 약속을 지킬수 없을 때가 올 것이라고 합니다.
Traditionall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manufactu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among the top emitters of greenhouse gase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mand for and use of the products of such manufacturers is part of the overall proces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전통적으로 연구원들은 중국과 인도같이 제조공장을 가진 국가들이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국가로 간주해왔습니다. 이 연구는 제조자들의 상품을 수요와 사용하는것도 온실가스배출에 대한 한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영어공부-영원히풀수없는숙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oretical Physicist Stephen Hawking Dies at 76 (0) | 2018.03.19 |
---|---|
Smart Mirrors Used to Lure Shoppers Back into Stores (0) | 2018.03.18 |
Sunday Trade Ban Shuts Stores Across Poland (0) | 2018.03.16 |
Aerospace Company Irks Astronomers With Disco-Ball-Satellite (0) | 2018.03.15 |
Facebook Launches Job Search Feature (0) | 2018.03.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