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anluna

ISS Astronauts Will Soon Get a Personal Assistant 본문

영어공부-영원히풀수없는숙제

ISS Astronauts Will Soon Get a Personal Assistant

cyanluna 2018. 3. 23. 07:56
우주비행사들을 위한 전용 AI로봇이 개발 되었네요. ISS내부를 둥둥 떠다니면서 자비스 역할을 해주나 봅니다. 심심하지 않겠네요. 좀 만 더 귀엽게 만들면 좋았을텐데...AI 가 대세가 되길 할 것같습니다. 곧 대부분의 사물에 AI가 탑재 되는 날이 올까요? 집안의 모든 가전기기들이 AI화 된다면 그들끼리 집에 있을 때 서로 대화 할까요?? 왠지 무서울 것 같기도하지만 한편으로는 또 재미있을 것도 같습니다. 그러다가 스카이넷이 되어버리면?? 아직은 스카이넷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가 없을  같지만 사실 그리 먼미래의 이야기도 아닌것 같습니다. 카카오스피커를 한대 사볼까 보네요. 마나님이 허락안해주시겠죠..ㅠㅠ   


ISS Astronauts Will Soon Get a Personal Assistant
우주비행사들의 위한 개인비서

Astronauts aboard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will soon get a personal assistant, similar to Amazon's Alexa and Apple's Siri, but so smart that astronauts prefer to call it a "colleague.
국제우주정거장에있는 우주비행사들이 아마존의 알렉사나 애플의 시리와 같은 개인비서를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비서는 너무 똑똑해서 우주비행사들은 비서가 아닌 “동료”라고 부르기를 선호합니다. 
Its official name is CIMON, short for Crew Interactive Mobile Companion, and it will partially live in a five-kilogram ball built by Airbus. It has a video screen with rudimentary face features, cameras with face recognition, microphones and speakers.
 공식 이름은 ‘사이먼’ 입니다. Crew Interactive Mobile Companion 의 줄임말입니다. 에어버스에서 제작을 했고 5키로그램 정도 됩니다. 비디오스크린과 기본적은 얼굴 표정, 얼굴인식 기능과 마이크로폰 그리고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CIMON will move freely within the space station; however, its brain will be on Earth in IBM's supercomputer, named Watson, which contains a huge amount of scientific knowledge.
사이먼은 우주정거장 내부를 자유롭게 돌아다닐수있습니다. 게다가, 왓슨이라 불리는 IBM의 슈퍼컴퓨터 칩셋을 두뇌로 탑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어마어마한 양의 과학적 지식이 담겨져있습니다. 
CIMON's main human companion will be German astronaut Alexander Gerst, who will bring it onboard ISS in June. The two are currently training together, as CIMON will have to be able to recognize Gerst's voice and face, and also to navigate within the complicated interior of the spacecraft.
사이먼의 주요 인간동료는 6월에 ISS에 탑승하게될 독일의 알렉산더 저스트입니다. 이 둘은 현재 훈련중에 있습니다. 사이먼은 저스트의 목소리와 얼굴을 인식할 수 있고 복잡한 우주선 내부의 길안내를 하기도합니다. 
For starters, Gerst and CIMON will cooperate in experiments with crystals, a complex medical experiment, and also try to solve the Rubik's magic cube using only videos.
시작으로써, 저스트와 사이먼은 크리스탈 실험, 복잡한 의료 실험 그리고 비디오만을 이용한 루빅큐브을 푸는 실험을 서로 협력 것입니다. 
A larger experiment will be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specially in view of future deep-space missions.
조금 더 큰 실험은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의 상호작용입니다. 특히  미래의 깊은 우주에 관한 임무가 될 것 입니다.
CIMON's developers would like to see whether an intelligent interactive assistant will help reduce astronauts' stress during long flights and improve their efficiency.
사이먼의 개발자는 상호작용하는 긴 시간의 비행동안 인공지능 비서가 우주비행사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효율을 높여 줄 수 있을지에 대해서 보고싶어 합니다.
The robot's creators are confident that soci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quipp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could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uccess of long-term missions.
인간과 감정지능이 탑재된 기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성공적인 장시간 임무수행을 위해 중요 한 공헌을 할 것이라고 로봇의 개발자는 자신 있어 합니다.




오늘의 골치 아팠던 문장

The robot's creators are confident that soci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quipp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could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uccess of long-term missions.

오늘은 딱히 어려운 문장은 없었어요. 일반적인 긴 꼬리문장 하나를 파볼께요. 앞문장을 That 절로 구구절절 설명하는 유형입니다. 

  1. The robot's creators are confident : 문장의 핵심입니다. ‘로봇개발자들은 자신있어한다!’ 그런데 무엇에 대해서? 가 뒤에 나오는 that절입니다. 
  2. that soci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equipp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 That 절의 주어가 좀 길어요. '인간과 감정지능이 탑재된 기계의 사회적 상호작용’ 이라고 해설하면 될 것 같아요. 이 후는 동사 구가 되겠죠. 
  3. could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uccess of long-term missions. : 장시간의 임주수행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 

인간과 감정지능이 탑재된 기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성공적인 장시간 임무수행을 위해 중요 한 공헌을 할 것이라고 로봇의 개발자들은 자신 있어 합니다.


Comments